노령연금 수령나이 총정리(최신버전)
노령연금 수령나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중 노령연금의 경우 노후대책을 위한 기초가 되는 급여입니다. 노령연금 지급개시 연령이 출생 연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요. 국민연금의 경우 10년 이상 납부기간을 채우고, 노령연금 수령나이가 되며 수급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기수령 및 분할수령 그리고 연기재도가 있는데요. 각각 노령연금 수령나이는 어떻게 되는지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의 의무가입 대상자의 경우 수익이 있는 만 18세60세 미만 대한민국 국민으로 납부기간은 60세까지 가능합니다.
국민연금을 가입 후에 10년이라는 최소가입기간을 충족시키고 노령연금 수령나이가 되면 연금을 수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임의 계속가입제도를 통해 10년의 기간을 못 채운 경우 60세가 넘어도 납입이 가능합니다.
기초노령연금 수령금액
기초노령연금 수령금액은 다음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2023년 기준 매월 25일에 노인 단독가구는 최대 323,180원, 노인 부부가구는 최대 517,088원을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받지 않고 계신 분 국민연금 월 급여액이 484,770원 이하인 분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연금을 받고 계신 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장애인연금을 받고 계신 분 단, 아래의 경우 기초연금액의 감액 대상입니다.
노령연금 수령연세 는?
노령연금에는 조기노령연금 이란 것도 존재합니다. 조기노령연금은 말 그대로 정해진 나이에 비교적 더 빨리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알아보기 쉽게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 표는 노령연금 수령연세 상향조정 표 입니다. 법률 제8541호 부칙 제8조에 의하면 태어난 년도에 따라서 노령연금 수령나이, 조기조령연금 수령나이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몇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60세가 법으로 정년으로 보장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100세 시대가 되고 65세를 정년으로 정하려고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노령연금 예측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예측 수령액의 경우 모의계산을 해볼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위에 사이트를 방문해서 예측 연금 모의계산과 간단 계산, 가입 및 납부내역 조회등 여러 가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2023년부터 국민연금 5.1 상향되었으며 부양가족연금액 또한 5.1 인상되었습니다. 배우자 및 자녀, 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에 가족수당으로 지급되는 부양가족연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3 노령연금 연기제도연기연금란?
1. 노령연금 수령 나이지급개시연령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계속해 근로수익이 있거나 임대소득 등의 사업수익이 있다면, 지급 개시연령으로부터 최대 5년간은 자신이 원래 받아야 할 국민연금액에서 최대 50까지 감액이 될 있습니다. 이 경우 굳이 감액을 받으면서까지 연금을 받아야 할 만큼 돈이 아쉬운 상태가 아니라면 노령연금 수령시기를 늦추는 게 이득일 있습니다. 이때 이용할 수 있는 제도가 노령연금 연기 제도입니다.
2. 노령연금 연기제도를 활용하는 경우, 연금 전액 혹은 일부5090를 최대 5년까지 늦춰서 받을 있습니다. 3. 연기금을 다시 받게 될 때는, 원래 받을 연금액에 대하여 연기된 매 1년당 7.2%의 연금액을 더 높여서 받게 됩니다.
노령연금 연기연금제도 알아보기
노령연금 연기연금제도의 경우 연금을 최대 5년까지 지급을 연기하는 제도로 전액을 연기하거나 일부연금에 대해서도 지급연기신청이 가능합니다.
1년 연기시 7.2%(1개월 0.6%) 씩 연금 수령액이 증액되며 5년 연기 시 최대 36%까지 수령액이 늘어나게 됩니다. 연기 시 연기할 연금 금액 비율을 50%,60%,70%,80%,90%,100%로 설정해서 수급권자가 선택이 가능합니다.
노령연금 금액 은?
연마다 물가가 조금씩 오르듯이 노령연금 금액도 물가상승률에 따라서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노령연금 금액을 아시려면 처음 일반 수급자, 저소득수급자 개념을 아셔야되는데요. 일반수급자란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저소득수급자 는 소득하위 40에 해당하는 기초연금 수급자를 의미합니다. 자신이 일반수급자 인지 저소득수급자에 해당하는지는 자신의 제일 잘 아실껍니다. 그럼 일반수급자, 저소득수급자의 경우 매월 얼마씩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될까요? 노령연금 금액 역시 1인가구, 2인가구부부에 따라 다릅니다.
2022년 기준 1일가구 일반수급자는 월 254,760원 2인가구 일반수급자는 월 407,600원 1인가구 저소득수급자는 월 30만원 2인가구 저소득수급자는 48만원을 받게 됩니다.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초연금 및 노령연금 신청방법
기초연금은 관할 행정복지센터 혹은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기초연금과 노령연금국민연금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보편적인 내용과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이 되신다면 지금 바로 신청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주 묻는 질문
기초노령연금 수령금액
기초노령연금 수령금액은 다음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2023년 기준 매월 25일에 노인 단독가구는 최대 323,180원, 노인 부부가구는 최대 517,088원을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노령연금 수령연세 는?
노령연금에는 조기노령연금 이란 것도 존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노령연금 예측 수령액
국민연금 예측 수령액의 경우 모의계산을 해볼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