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률

2024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률

2023년 바뀌는 것 2023년 최저임금 바뀌는 제도 최저임금은 시간당 작년 9,160원 보다. 460원5.0 인상된 9,620원으로 책정이 되었습니다. 또한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주 40시간 기준은 11,544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하루 8시간 주 5일을 일하게 되면 월급은 200만 원이 조금 넘습니다. 다만 미래노동시장연구회 및 고용노동부에서 주휴수당 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을 하여 노동시장 개편이 이뤄질 수 있겠습니다. 주 52시간에서 주 69시간까지 근무시간을 느는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렇게 변경이 되면 하루 11.5시간까지 근무를 해야 할 수도 있겠습니다.


미혼 청년 특별제공 도입
미혼 청년 특별제공 도입

미혼 청년 특별제공 도입

만 19살 39세 무주택 미혼 청년대상으로 소득월평균 소득 450만 원 이하 및 자산2억 6천만 원 이하 및 어버이의 자산 상위 약 9억 7천만 원 이하을 파악하여 특별공급을 도입하기로 하였습니다.

8. 석가탄신일 bull; 크리스마스도 대체 공휴일

2023년부터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가 주말인 경우 월요일이 대체 공휴일로 지정이 되겠습니다. 직장인 분들은 희소식이겠지만, 사업주분들께서는 다소 아쉬운 소식이겠습니다.

연도별 최저시급전년대비 인상률
연도별 최저시급전년대비 인상률

연도별 최저시급전년대비 인상률

2017년 6,470원 7.3 2018년 7,530원 16.4 2019년 8,350원 10.9 2020년 8,590원 2.9 2021년 8,720원 1.5 2022년 9,160원 5.0 2023년 9,620원 5.0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입니다. 작년대비 5 인상되었습니다. 그리고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최저시급은 11,544원입니다. 만약 주휴수당이 폐지된다면 18년도 최저시급으로 돌아가는 효과가 될 것 같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4대 보험 상승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4대 보험 상승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4대 보험 상승

24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내년 4대 보험도 최저금액이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국민연금 92,700원, 건강보험 73,050원 장기요양9,350원 고용보험 23,690원 등으로 추정되지만 4대 보험률 또한 매번 상승하므로 사업주의 부담도 조금 더 커질 예정입니다. 최저임금과 물가와의 관계 최저임금이 올라가게 되면 일부 물가를 상승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노동비용의 증가는 기업은 인건비로 나가는 손해를 메꾸기 위해 상품의 가격을 상승시켜 곧 물가의 상승으로 이어져지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며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질 경우 더 많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합니다. 보시면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년도별 최저임금제 인상비교

년도별 최저임금제 인상률전년도 비교 전년도와의 차이금액 4,1104,320 4,580 4,860 5,210 5,580 6,030 6,470 매번 이루어 지는 최저임금제 결정은 노측과 사측의 대표들이 대립을 하게 됩니다. 올해도 14차에 이르는 회의가 있을 정도로 긴 여정이지만, 속된 말로 대립만 이루어 지는 것이죠. 노측과 사측의 입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민감한 최저임금제에는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노사측을 중재하는 공익위원들이 있지만, 이들의 입장은 노측이 아니라 정부입니다. 따라서 기업에 유리한 조건들로 기울게 되고, 올해서 마지막에는 새벽에 이런 치명적인 결정을 하게 이르릅니다.

2017년 최저시급임금 6470원 겨우 440원 올랐네?

임금 상승률은 7.3%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근데 그걸 아는가? 물가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보다. 더 높다는것을 말입니다. 제 아무리 임금이 많이 올라도 물가보다는 적게 오른다는 결론입니다. 결국 시간이 갈 수록 살 건 많아지지만 점점 살 수 있는 폭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점점 살 수 있는게 줄어드니 기업에서는 어떻게든 싸고 좋은 품질 좋은 제품들을 내놓기 위해 아둥바둥 연구하고 또 연구하게 되는 효과를 갖고 오지 않느냐? 라고 하는데, 솔직히 개소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돈이야 많으면 뭐에 쓸까가 고민인거지, 돈이 재정적으로 소비가되어 돌기 시작하니 혈액순환이 활달해져 건강해 지는 것 처럼 경제도 건강을 되찾게 됩니다. 440원밖에 올리지 못하는건가? 물가는 그렇게 잘 올리면서? 너무하는거 아닌가 모르겠다. 참조하여 물가상승률은 매년마다.

자주 묻는 질문

미혼 청년 특별제공 도입

만 19살 39세 무주택 미혼 청년대상으로 소득월평균 소득 450만 원 이하 및 자산2억 6천만 원 이하 및 어버이의 자산 상위 약 9억 7천만 원 이하을 파악하여 특별공급을 도입하기로 하였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도별 최저시급전년대비

2017년 6,470원 7.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4대 보험

24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내년 4대 보험도 최저금액이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