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세무1급이월결손금 세무조정
2021년 5월, 종합소득세의 달인데,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면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항목인 이월결손금에 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월결손금의 공제한도와 2020년귀속 신고분부터 변경된 공제기간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이월결손금이란? 이월결손금이란 기업이 어떤 사업연도에 발생했던 손실을 이월처리하여 수익이 생겨나는 사업연도의 소득요금에서 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속해서 결손금이 발생하고 누적되다. 보시면 기업도 살아남기가 힘들어지겠죠? 그래서 결손금이 생겨나는 연도에는 해당 결손금을 누적, 이월시키고 수익이 생겨나는 사업연도에 소득요금에서 공제하여 결손금을 차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둔 것입니다.
지출증빙 입증방법
문의 기준경비율 적용대상자가 세금계산서 등 주요경비의 증명서류를 분실하여 지출한 사실 확인이 어려운 경우 주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기준경비율에 의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하여 소득세를 신고하는 경우, 주요경비에 대한 입증은 납세자가 하여야 합니다. 다만, 천재지변 등등 불가항력으로 장부 등등 증빙서류가 멸실된 때에는 기장이 가장 정확하다고 인정되는 동일업종의 다른 사업자의 소득금액을 참작하여 그 소득금액을 다짐 아니면 경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성실신고확인제도 연관 확인사항
성실신고확인제도 연관 참고 법령은 법인세법 제60조의 2, 법인세법 시행령 제97조의 4, 조세특례법 제126조의 2를 참고하시고 체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타신고 연관 확인사항주식변동과 이월결손금 연관 확인사항 아래 점검사항의 관련법은 법인세법 제119조, 법인세법 161조입니다. 요약 점검표는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십시오 법인결산을 하자면 회계 계정과목에 따른 분류가 잘되어있는지 혹은 계정처리를 잘했는지 여러모로 점검해야 할 사항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 각 회사에서 활용하는 회계프로그램이 좋아 쉽게 근로를 이행한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산은 챙기고 점검해야 할 사항이 너무너무 많아 힘이든 사항입니다. 물론 이런 이야기도 있더군요 경리, 회계업무는 잘~~~ 해야 본전이라고 ㅜ.ㅜ 연관 업무 하시는 분 오늘도 내일도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