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부터 시작하는 이직,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방법
이제 2023년이 시작되었는데요 그래도 아직 2022년이 끝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2022년 귀속 연말정산이 남아있습니다. 2023년 1월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연말정산이 13월에 월급이 될지 13월에 폭탄이 될 지가 결정됩니다. 오늘 포스팅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미리보기에 관하여 심플하게 한방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간단하고 쉬워요 사회 초년생들이나 작년에 했지만 가물가물하신 직장인 분들은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가 바뀌었는데 지난해에 대한 연말정산이라니. 1년이나 금융활동을 했던 것을 다시 정리하려니까 복잡하고 막막하시죠 그래서 국세청에서 간소화서비스라는 아주 간편한 프로그램덕분에 의외로 저희가 할 일은 그리 많지 않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절차
먼저 해야할 것은 국세청의 홈텍스에 로그인부터 해야겠죠? 그러려면 반드시 구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요즘에는 카카오인증 등 다른 로그인 방법도 있어서 더 편해졌더라구요 올해부터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에서 간소화서비스로 바뀌었다고 하더라구요. 미리보기에서는 이것저것 입력하고 바꿔주고 하는것들이 많아서 은근히 복잡했거든요 하지만 이제는 더 간편해졌습니다.
연말정산 과정
연말정산 절차는 간단하게 하면 되는데.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계산이 되는건지는 잘 이해가 안가시죠 이건 공식에 따라 더하기, 빼기, 곱하기 등의 계산이 좀 필요합니다. 너무 자세하게 하면 헤어 아프니까 필요한 것만 간결하게 한번 알아볼까요? 딱 세가지 식만 이해하시면 됩니당 1 종합소득금액 소득공제금액 과세표준금액 먼저 저희가 받는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가 빠지면 과세표준이 나옵니다. 그럼 소득공제란 무엇일까요? 소득공제란 총 종합소득에서 공제된 금액을 빼는 것입니다.
2 과세표준 X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산출세액 이렇게 해서 나온 과세표준은 중요합니다. 이것에 따라서 세율이 결정되기 때문이죠. 당연히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내야하는 세율도 높아집니다.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기부를 했는데 기부금 내역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기부를 받은 쪽에서 세금 신고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런 경우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받아서 기부자가 직접 세금 신고를 통해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금은 생각보다. 세액공제율이 높아서 13월의 월급을 돌려받는 데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기부금이 있으면 반드시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받아 증빙하도록 합니다.
경정청구서 작성
이미 작성하여 해당 페이지 스크린샷이 없습니다. 글로만 쓰는 점 양해해주세요 스스로가 낸 1년 간의 월세액 총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월세 세액공제가 계산이 됩니다. 저의 경우 월 30만원의 월세를 납부했습니다. 월세액 총액은 360만원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미 납부한 세금 중에서 종합소득세에서 345,654원과 지방소득세에서 34,565원을 환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사실 그냥 있었다면 결국 사라졌을 환급액입니다.
여러분도 번거롭다. 생각하지 마시고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환급액만 38만원에 가까운 금액이면 한달 월세액을 초과하는 금액입니다. 환급액 10번만 모으면 1년치 월세가 해결됩니다. 무조건적으로 작은 금액 아닙니다. 사족이지만 월세액 공제로 환급받은 금액을 가능하면 없는 돈이라 생각하고 투자하길 강력 추천합니다.
필요한 증빙 서류 첨부하기
험난하고 어려운 경정청구 서류 작성을 마쳤으면 이제 증빙 서류를 첨부해야합니다. 첨부 경로는 작성한 내역 조회에 가시면 스스로가 작성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화면 맨 오른쪽에 첨부파일 등록하기 클릭하시면 됩니다.
월세 세액공제에 필요한 서류는 1)임대차계약서와 2)월세액 납입을 증명할 서류입니다. 임대차계약서를 사전에 스캔하시고(아이폰 메모 스캔을 활용하면 꿀), 월세액 납입 증명은 가까운 은행에 가셔서 집주인 계좌로 납부한 이체 내역만 받아오셔서 스캔하시면 됩니다.
해당 데이터를 첨부하면 끝 만일 서류가 미미 하더라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저의 경우 바로 다음날 관할 세무서에서 전화가 와 필요한 서류를 안내해주셨고, 팩스로 해당 서류를 보냈더니 바로 처리해주셨습니다.
연말정산 일정
이제 마지막으로 연말정산 일정에 관하여 알아볼까요? 올해는 2023년 1월 15일 금요일부터 국세청 홈텍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가 오픈됩니다. 그리고 신고 납부기한은 3월 10일 금요일까지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절차
먼저 해야할 것은 국세청의 홈텍스에 로그인부터 해야겠죠? 그러려면 반드시 구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가 필요합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연말정산 과정
연말정산 절차는 간단하게 하면 되는데.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기부를 했는데 기부금 내역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기부를 받은 쪽에서 세금 신고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